[지구과학1] 도플러 효과 관련 스킬 소개2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가르치는 강사 안성진입니다.
지난 글(https://orbi.kr/00068097094) 에 소개한 스킬을 이용해 더 많은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1) 2024 수능 19번
Q1. 기준 파장 λ0의 값은?
A.행성의 공전 궤도로 중심별의 파장 변화 양상 파악하기
(1) 중심별의 공전 방향 구하기
행성이 A위치에 있을 때, 중심별은 시선 속도 크기가 최댓값을 나타내는 위치에 있으므로, 적색 편이 최대 혹은
청색 편이 최대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중심별의 파장이 비교적 짧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니,
청색 편이 최대를 나타내고 있을 것입니다.
이를 통해 중심별과 행성은 시계 방향으로 공전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중심별의 파장 변화 양상 파악하기
지난 글에서 해보았던 것 처럼, 일단 시선 방향에 수직하게 스펙트럼 축을 그려줍니다.
행성의 공전 궤도가 그려져 있는 상황이므로, 시선 속도의 부호가 중심별로 판단할 때와는 반대임에 유의합시다.
행성의 위치에 따른 중심별의 스펙트럼 위치가 바로 파악되었습니다. 문제의 조건에 따르면,
행성이 A에 있을 때 중심별 흡수선의 관측 파장이 499.990, B에 있을 때 500.005 이므로, 이를 써줍시다.
그리고,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을 1로 잡고, 위 그림 기준 A,B,C의 y 좌표 값 크기의 비를 비교합시다.
그리고 그 비는 아래와 같이 파장 변화 크기의 비와 같습니다.
그렇다면, 고유파장은 499.990과 500.005를 2:1로 내분하는 지점임을 직관적으로 파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고유파장은 500입니다.
Q2. ㉠의 값은 499.995보다 작은가?
A. 위 그림을 그렸다면, 답이 그냥 나옵니다.
그린 그림에서, 499.995의 위치를 표현하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499.995는 500과 499.990의 딱 가운데에 해당하므로, 행성이 C에 위치할 때의 파장은 그보다는 짧음을
바로 그림을 통해 판단이 가능합니다. 이 스킬의 좋은 점 중 하나입니다. 문제에 그려진 그림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죠.
(2) 2019 9월 모평 18번
Q1. (가)에서 지구로부터 중심별까지의 거리는 T2일 때가 T3일 때보다 가까운가?
A. 시선 속도 그래프를 이용해 중심별 공전 궤도 연상하기
위에서 보았던 애니메이션을 상기합시다.
그리고, (가) 그림 옆에 중심별의 공전궤도를 그려봅시다. 숙달되면 머리에서 연상하실 수도 있을겁니다.
일단, 시선 속도 축과 수직하게 시선 방향을 설정합니다. 왼쪽을 향할지, 오른쪽을 향할지는 상관없습니다.
상황에 맞춰서 공전 방향을 설정해주면 되거든요. 저는 오른쪽을 향하게 그려보겠습니다.
얼추 시선 속도의 변화폭과 맞추어 공전 궤도를 그립니다.
그리고, 위쪽 궤도를 돌 때 시선 속도가 (+)여야 하므로, 공전 방향은 시계 방향으로 그려주면 되겠네요.
시선 속도 값에 맞춰서 중심별의 y축 좌표(위 그림 기준) 값을 설정해주면 됩니다.
그럼 자연스럽게 아래와 같이 됩니다.
조금만 연습하시면 머리에서도 쉽게 그려집니다. 그럼 T2일 때가 T3일 때보다 가깝네요.
(3) 2024 EBS 파이널 실전 모의고사
Q1. 식현상은 (나)~(다) 기간에 나타나는가?
A. 흡수선의 파장 변화 통해 중심별 공전 궤도 연상하기
문제 조건에 따라 해당 자료는 중심별이 공통 질량 중심을 원궤도로 '1회 공전'하는 동안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관측한 것입니다.
그런데, 스펙트럼이 총 4개가 제시되었고, (라)는 (가)와 동일한 위상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는 중심별이 공전 궤도를 120도 공전할 때마다 한번씩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중심별이 관측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부터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라면, 아래와 같은 스타일의 스펙트럼이 관측되어야합니다.
그런데 그렇지 않다는건, 뭔가 애매한 위치에서부터 관측을 시작했다는 의미겠죠?
자료를 통해 파악해봅시다.
일단 스펙트럼 축과 수직하게 시선 방향을 설정합니다. 위쪽을 향하든 아래쪽을 향하든 상관없으나,
위쪽을 향하게 해보겠습니다. 그럼 오른쪽이 파장이 길어지는 방향이므로, 중심별이 반시계 방향으로 돌게끔 설정해줘야합니다.
그리고, 흡수선의 위치에 알맞게 중심별이 120도 간격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그려져야 함을
조금 생각하면 알 수 있습니다.
(가)와 (나) 같이 스펙트럼 파장이 같은 경우에는, 공전 방향을 잘 관찰하여 선후 관계를 결정해야함에 유의하세요.
그럼, 식현상은 중심별이 관찰자와 가장 멀어질 무렵에 발생함을 고려할 때, 식현상이 나타나는 구간은 (나)~(다)가 아니라, (다)~(가) 입니다.
Q2. 흡수선의 원래 파장은 [λ-(Δλ/3)]nm 인가?
A. 일단 고유 파장의 위치를 찾아야합니다.
문제에 그려진 λ는 고유 파장을 의미하지 않음에 유의하세요.
스킬을 적용해보면, 고유파장은 위 그림의 ㉠과 ㉡ 사이를 1:2로 내분하는 지점에 위치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유 파장은 ㉠으로부터 (2Δλ/3) 만큼 긴 위치에서 나타남을 알 수 있구요.
이를 문제의 'λ' 를 사용하여 표현해보면,
λ로부터 [Δλ-(2Δλ/3)] 만큼 짧은 위치에서 나타나는거니까, [λ-(Δλ/3)] 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고유 파장은 [λ-(Δλ/3)]nm 입니다.
Q3. (가) 이후 관측 시간 간격을 1/2로 줄이면 관측되는 파장의 최솟값은 [λ-(5Δλ/3)]nm 인가?
A. 관측 시간 간격을 1/2로 줄이면, 중심별이 60도를 돌 때마다 한번씩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아래와 같이 나타날겁니다.
위 그림의 X 위치에서 최솟값이 나타날 것임을 바로 파악할 수 있지요.
그럼, 고유 파장인 [λ-(Δλ/3)] 으로부터, 2x(2Δλ/3) 만큼 짧은 위치에서 파장이 나타날 것이므로,
[λ-(5Δλ/3)]nm 입니다.
이상 최대한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풀어보며 스킬의 유용성을 살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026수능대비 UAA 컨텐츠들 전년과 같이 프로모터 시놉시스 어댑터 트레일러...
-
이거 뭐 어케봐야하나요 세번째 자연수는 작수는 1234 사설은 지정된 자연수 로내고...
-
사관 국어푸는데 이해한건제대로했는데 선지를 오해석 하는경우가 대부분인데 이게 진짜...
-
투과목하고 의대가는 법 93
생2 응시했습니다. 질문 받아요!
-
안녕하세요. 이투스 손경호 강사입니다. 오늘 15일 2022 수능의 가장 큰...
-
[생2오류] 이재명 후보에게 직접 얘기해주세요. 149
안녕하세요. 이투스에서 생명과학을 강의하는 손경호 강사입니다. 수능 생2 오류와...
-
안녕하세요. 이투스에서 생명과학을 가르치는 손경호입니다. 일전에 22 수능 생2...
-
반갑습니다. 저는 이투스에서 생명과학을 강의하는 손경호입니다. 오르비에 다른 글로...
-
화1생2하고 있었는데, 목표가 바뀌어서 화1지1으로 하려고요. 고등학교 특성상ㅇ...
-
워드 파일 확인해주세요! 현재 과제 덕분(?)에 화요일/금요일 업뎃은 못지킬수도...
-
안녕하세요? 생2 뽀개기입니다. 화요일에 글을 못 써서 오늘 뵙게 되었네요.......
-
고인물들이거나 개정전 생1하셨던분이면 문제없는지만 처음하면 1~3단원에서 암기량...
-
안녕하세요! 생2 뽀개기입니다. 오늘은 유전자 발현 조절 중 진핵생물에 대해서...
-
안녕하세요! 생2 뽀개기입니다. 워드 파일이 아니라 직접 글 쓰는 건 오랜만이네요....
-
드라마 보다가 업로드를 깜빡해버렸네요... 업로드 늦은 점 죄송합니다. 여러분도...
-
그동안 생2칼럼을 꾸준히 올려왔었는데, 요즘 수강신청 시즌이라 대안 시간표를 짜느라...
-
지각 죄송합니다 ㅠㅠ 도움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릴게요!!
-
드디어 코돈 문제풀이네요... ㄷㄷ 오늘은 코돈 문제를 풀기 위해 필요한 기초...
-
그동안 월수금 생2칼럼을 써온 생2뽀개기입니다. 아직 개강은 아니지만... 개강이...
-
메셀슨과 스탈의 실험 문제풀이에 대해 주로 다루었습니다. 리퀘스트가 있다면,...
-
오늘 연재 늦은 점 죄송합니다 ㅠㅠ 다음 번에는 메셀슨과 스탈 문제풀이/ DNA...
-
안녕하세요! 생2 뽀개기입니다. 이번에는 샤가프 법칙과 DNA 복제에 관한 킬러...
-
안녕하세요! 생2뽀개기입니다. 사실 칼럼의 취지가 각 과목에 대해 유익한 정보를...
-
안녕하세요! 생2 뽀개기입니다. 오늘 칼럼을 시작하기 전에 이 칼럼의 분량이 상당히...
-
생2칼럼 4회차)효소/삼투압 문제풀이/request 10
안녕하세요! 생2 뽀개기입니다. 우선 오늘 연재 늦은 점 사과드립니다 ㅠㅠ 사정이...
-
생2칼럼 3회차)세포막 17
안녕하세요! 생2뽀개기입니다. 벌써 세 번째 칼럼을 쓰게 되네요. 여러분들이 제...
-
지금 진도 어디 쯤 나가나요? 엣지는 언제서부터 시작하는지...
-
안녕하세요! 생2뽀개기입니다. 오늘 칼럼은 기존 생1에서 생2로 올라온(+저번에...
-
안녕하세요! 어제 칼럼 공지글로 인사드렸던 생2 뽀개기입니다. 칼럼 1일차 글을...
-
2020 수능을 본 (전) 수험생입니다. 오르비에서는 처음 인사드리네요 ㅎㅎ...
-
지금까지 나온 생2 실모가 uaa볼륨1이랑 정수민t박에 없는고같은데 uaa는...
-
수특에 나와 있는 대로 테마 잡았어요 생명과학1은 총 56개 생명과학2는 총...
-
포만에 몇일 전에 올라온 사진 이번 6평 문제들입니다.
-
생2 ㅈㅅㅁ 모의고사 1~10회 정오표(?) [아마도 최종] 10
여기 올리는 것들은 전부 검사를 맡은 것이기 때문에 정오표에 곧 올라가기는...
-
42정도로 만드셨다네요... 참고하세요
-
2017시행 2018 6월 모의고사 생2 16번 해설 12
안녕하세요 생2 선택 여러분(웨아직도안바껐데) 독수공방에서 생2 모의고사 해설을...
-
성적증명서는 뽑아뒀구요 생2문제 출제 및 검토 가능합니다. 카톡아이디...
-
이 글은 생2 경쟁자를 제거하려는 악성 훌리들을 경계하기 위한 글입니다. 생2 전파 프로젝트 4일차
-
많은 사람들에게 생2는 매우 어려운 개씹헬난이도이면서 표본수준은 엄청엄청 높은 절대...
-
생2 전파 프로젝트 1일차!
-
지방사람이라 기출밖에 풀게없네요.. 해봣자 인강 문풀 ㅠㅠ 생2서바이벌모의고사 나...
-
[수완 정정] 답답해서 직접 만든 생2 수완정오표 (캠벨) 6
수능완성 생명과학II 풀다가 하도 이상한 느낌이 드는 선지가 많은데 EBS에서는...
-
왜 올리고마이신같은 ATP합성효소 저해제가 작용하면 전자전달계와 TCA회로 전체가...
-
이번에 생2 하다가 망해서 지2로 옮기려는 학생입니다 생2는 진짜 오르비서 본 가대...
-
보시다시피 저는 수학 3등급이잖아요 수학 3등급도 만점맞는 생2! 개쉬움! ㅇㅈ?...
-
Locked 18
Locked
-
생2같은 과목은 안하는게 답인거 같습니다(진지, 엄격, 단호) 2
예비 고3분들 선택과목에 고민들 하실겁니다생2를 한 제 입장에서...
-
2017수능때 갈때까지 가서 한 번 터질려나요..
-
국a 93 수b88 영94 물2 44(...) 생2 48 한양대 물리 추가합격 되나요 2
아니면 시립대 물리행....
-
광합성 물생성? 3
광합성에서 물이 생성된다고 하는데 어디서 생성되는 건가요?
좋은 글 항상 감사합니다!
늙고병들어서문제를gif로풀고싶어요
ebs저 문제 풀면서 경악했었는데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