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국과학 14편 - 2017 6평 유비추론
수국과학 서론
수국과학 0편 - https://orbi.kr/00024902587
수국과학 1편 - 17년 수능 보험지문 https://orbi.kr/00024908611
수국과학 2편 - 16년 9평 A형 소비자 정책 https://orbi.kr/00024918345
수국과학 3편 - 17년 9평 콘크리트 발전사 https://orbi.kr/00024926865
쉬는편 - 문제풀이의 가성비 https://orbi.kr/00024961979
수국과학 4편 - 16년 9월 A형 해시 함수와 보안 https://orbi.kr/00024974585
수국과학 5편 - 11년 수능 부활절 지키기 https://orbi.kr/00025028419
쉬는편 - 필자 친구썰 https://orbi.kr/00025107702
실전특집) 6편 - 19년 수능 질량문제 https://orbi.kr/00025167180
쉬는편 - 학생 쪽지썰 https://orbi.kr/00025178021
실전특집) 7편 - 17수능 반추동물 생존 https://orbi.kr/00025178360
실전특집) 8편 - 17년 9평 칼로릭 논쟁 https://orbi.kr/00025194849
실적특집) 9편 - 17년 수능 콰인과 포퍼 https://orbi.kr/00025229117
쉬는편 - 붕어빵과 수학 https://orbi.kr/00025267871
실전특집) 10편 - 18년 수능 디지털 부호화 https://orbi.kr/00025277899
고찰 - 왜 주제를 중심으로 읽어야할까? https://orbi.kr/00025295151
고찰 - 독해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25947282
11편 - 2017 6평 음악의 아름다움 https://orbi.kr/00027301533
12편 - 2007 수능 대중매체 비판 https://orbi.kr/00027388414
13편 - 2011 9형 한계비용 https://orbi.kr/00027569221
오늘 다룰 유비논증 지문은 상당한 수준의 난이도를 자랑하는 긴 지문입니다. 동물실험을 옹호하는 입장과 비판하는 입장 2가지가 나와서, 상대적으로 어느 입장이 더 중요한지도 잘 구분해야 했고 내용 자체가 논리학적인 내용이라서 다소 난해했습니다.
여태까지 전 수능 국어를 설명하면서 다양한 입장차가 부딪히는 경우에 대해서 몇번 이야기 한 바 있습니다. 어떤 지문은 서로 다른 두 입장이 모두 완벽하게 동등한 위치라서, 어느 한쪽이 더 설득력있고 중요하다고 말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런데 한쪽의 입장에 정당성과 근거가 쏠린 지문도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입장이 보이는 경우에는, 그 입장부터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또한 여태까지 지문을 설명하면서 첫 문단에서 주제를 찾고 넘어갔었지만, 어느 쪽의 주장이 더 중요한 지는 좀 더 읽어본 후에나 확신할 수 있었습니다. 만약 지문이 친절하게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주장을 첫 문단에 제시해줬으면 더 쉬웠겠으나, 뒤에 섞어놓으면 제대로 집중하지 않고 놓칠 위험이 커집니다.
놀랍게도 이 지문에서 어느 쪽 주장이 좀 더 중요하고 설득력이 강한지만 눈치챘다면 찍더라도 더 쉽게 정답에 근접할 수 있었습니다. 늘 하던 것처럼 1문단 읽고 가장 중요한 문장 하나 뽑아보겠습니다.
늘 말하듯이 뭔가 '유비논증'이라는 것의 세세한 정의가 중요한게 아닙니다. 우리가 여태 고등학교 공부를 하면서 유비 논증이라는 것을 몇번이나 보았겠습니까? 유비 논증을 미리 알고있던 학생들을 위한 시험이 아니기에, 이런 세세한 정의는 대충 넘어갑시다.
이 문단을 보면 유비논증이 앞으로 어떻게 쓰일지 짐작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특히 의학적인 목적에서 포유류를 대상으로 행해지는 동물 실험이 유효하다는 주장과 그에 대한 비판은 유비 논증을 잘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아! 유비 논증 자체에 대한 설명보다도 이게 더 중요해 보입니다. 동물 실험에 쓰이는 유비 논증을 이해하면서 우리는 유비 논증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답니다. 그럼 뭔가 앞으로 유비 논증이 동물 실험 논쟁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좀 집중하면 될 거 같습니다.
사실 오늘 지문은 해설한다면 대단히 길어지기에, 지금은 제가 서론 부분을 집필하는 만큼 최대한 줄이고 경량화하여 정답에 근접하는 시범만 보이도록 하겠습니다.
2,3문단을 마저 읽으면 동물 실험을 옹호하는 쪽에 대한 이야기가 줄줄 나옵니다. 동물과 사람이 비슷한 점이 많아서 유비 논증을 적용해서 옹호한데요.
그러다가 4문단을 읽으면 우리를 잠깐 움찔시키는 부분이 등장합니다.
그러나 ㉡ 동물 실험을 반대하는 쪽은 유효성을 주장하는 쪽을 유비 논증과 관련하여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한다.
자, 우리가 여태 지겹도록 이야기했었죠. 항상 '그러나'같은 말이 나오고 나서 중요한 이야기가 나왔다는 걸. 게다가 해당 문장의 서술어도 보면 누가 누굴 비판했다고 나오죠. 여태까지 계속 이야기해왔지만, A가 B를 공격했으면 상식적으로 A의 이야기가 더 중요하겠죠. B에겐 약점이 존재하고.
그래서 해당 문장을 눈여겨보니까, 동물 실험을 반대하는 쪽이 동물 실험을 찬성하는 쪽을 비판한다고 하는군요. 아! 그럼 제가 아까 처음 이야기 한 내용 기억나십니까? 서로 다른 두 입장이 충돌할 경우 둘이 동등할 수도 있고, 서로 차이가 날 수도 있다고 했죠. 그럼 이 지문은 90% 확률로 차이가 보이며, 동물 실험을 반대하는 쪽이 더~ 중요해 보입니다.
이 지문 주제 잡았고, 두 입장 중에 뭐가 더 중요한지 알았으니까 전 이제 문제를 해설할 수 있습니다 ㅋㅋ 물론 절대로 이정도만 읽고나서 모든 문제를 완벽하게 푸는건 아니고, 최대한 적게 읽고 중요한 핵심만 찝은 상태에서 최선을 다해 정답에 근접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입니다.
바로 첫번째 문제. 일일이 다 확인하려고 들지 말고 한번 선지를 훑으면서, 좀 이상해보이는거 하나 찾아보세요.
1번 선지는 맞는 말인거 같습니다. 아까 우리가 찾은 핵심을 거의 그대로 읊어주네요.
2번 선지도 맞는 말인거 같습니다. 유비 논증이 동물 실험 옹호론에 어떻게 쓰이는지 설명한답니다.
마찬가지로 3번 선지도 맞는 말인거 같습니다.
4번 선지도 확신까지는 못하겠지만 대충 맞는 말인거 같습니다. 유비 논증에 근거해서 이번에는 동물 실험 옹호론을 비판한다는 내용이네요.
5번 선지를 보는 순간 우리는 소름이 돋아야 합니다. 마지막에 보면 유비 논증의 차원을 넘는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나머지 선지들은 모두 유비 논증을 활용해서 옹호한다던지 비판을 하고 있었는데, 마지막에는 이야기가 삼천포로 빠지는군요.
그래서 우리는 이 지문의 핵심만을 안 상태에서 5번이 대단히 거슬린다는 느낌을 받았고, 실제로도 정답은 5번이었습니다. 정말 다시 읽어보면 유비 논증을 벗어나질 않습니다 지문이.
다음 문제 한번 풀어보겠습니다. 정답률이 꽤 낮았던 문제인데요, 힌트를 하나 드릴게요. 아까 제가 옹호론과 비판론 중에서 누가 더 중요하다고 했죠? 비판론이 더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그럼 선지들 중에서 비판론에 해당하는 선지를 하나 찾아보세요.
그럼 3번과 5번이 걸려들어옵니다. 3번 내용은 나름 다시 정리해보자면 '인간과 실험 동물의 꼬리 차이는 동물 실험 옹호론의 설득력을 깍아내린다', 5번 내용은 그냥 동물 실험 비판론이 주어로 나왔군요.
그래서 전 무슨 생각을 했냐면, 정답이 3번과 5번 사이에서 나오리라 상상했습니다. 왜냐하면 이 지문에서 중요한 쪽은 동물 실험을 비판하는 쪽이지, 옹호하는 쪽이 아니었거든요.
정답 후보를 이렇게 2개로 압축하고 나서 다시 지문 올라가서 일일이 좀 찾아보니까, 정답이 정말 여기서 나왔네요? 정답은 5번 입니다. 제가 최대한 지문 간략하게 설명한다고 앞서 이야기는 안했지만, 5번은 지문 맨 마지막에 나오는 핵심 내용이기도 합니다.
문제 하나만 더 풀고 이번 시간 마치겠습니다. 제가 제일 다루고 싶던 문제입니다. 수능에서 어느 한 쪽이 더 중요한지 안중요한지를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핵심인지를 잘 보여주는 문제입니다.
이런 문제가 보통 어렵죠. 그런데 여태 제가 늘 해왔듯이, 이 지문의 핵심을 이용해서 후보를 단순해 줄여보겠습니다.
지겹게 이야기하지만, 이 지문의 핵심은 비판론이었습니다. 동물 실험 옹호론과 비판론이 서로 싸웠는데 비판론이 더 중요해보였고, 지문 맨 마지막까지 가면 비판론이 결국 이겼다는 수준의 확신을 줍니다. 그래서 해당 문제에서도 ㉡ 이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다시 선지를 보아하니 3,4,5번이 바로 비판론에 해당하는 선지네요. 그럼 정답이 여기서 나올거 같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좀 세세하게 읽고 나머지 세부적인 내용을 지문에서 확인해보면, 정말 여기서 정답이 나왔네요? 정답은 3번이었어요.
만약 두 입장이 대등했다면 전 울면서 1번에서 5번까지 다 봐야 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지문에서 노골적으로 더 중요한 입장이 있다는 사실을 끊임없이 암시하였고, 그래서 직감적으로 더 중요한 부분에 해당하는 선지부터 살펴보니 운 좋게도 거기서 정답이 바로 튀어나왔습니다.
물론 운도 한두번이지 항상 보면 이런 식이라서.. 두 입장의 대립과 중요도 판별 여부가 중요한 지문이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주일만 0
현생살고온다 ㅂㅂ
-
얼버기 기상 5
안냐세요
-
점유소유, 헤겔, 브레턴, 에이어 더 있을텐데 기억이 안난다 + 할매턴도 별 5개
-
남중 남고 루트 말고 있을 수가 있나
-
ㅈㄴ걍 애매한게 많음 수능에 안나와~라고 하기에는 좀 그렇고 설명하기가 어렵더라구요
-
아니시발 티젠전 2
고삼인데 lck 도 끊어야겟지
-
개념 vs 심화 문제 풀이 전자보단 후자가 수요가 있겠죠? 받아보신분들이나...
-
생글은 들으면서 뭔가 얻어가는느낌 들어도 에필로그는 진짜 그냥 풀면서 되게 쉬운...
-
칼럼 주제 정리할 겸 많은 분들의 의견이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2025 2월 최신...
-
분명 수험생커뮤인데 공부얘기 많은게 이상함
-
이성이긴 한데 그친구가 프사 게사물 하이라이트 하나도없고 비공갠데 그냥 추천같은데...
-
쌈무나보고가라 2
-
그래도 과외는 얼마를 줘도 자신이 하나도 없음 (수능은 만점) 사탐 과목은 관련...
-
사문 일주일 공부하고 모의고사 10번 치면 40점대는 빈번하게 나올듯 근데 결국...
-
중앙대 약대 교과 2025 입결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합격자 계시다면 중앙대식...
-
열등감 덩어리라 슬프네
-
예를 들어서 담화표지를 사용하여 문단간의 연결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게 선지면...
-
Official HIGE DANdism- Parabola(포물선)
-
돌돌물 0
돌고 돌아 물리로
-
치돈 시켰는디 1
개맛있어어
-
국수영탐 과목별로 어느정도 되어야 과외할 수 있을까요 6
그래도 암묵적인 컷이 존재하는 법이니까요 고2~고3 기준으로 했을때요
-
아…
-
이거 클까요
-
내가 수능장에서 진짜로 말아먹은거라면? 사실은 1등급 나올 실력이 맞다면? 어쩌면...
-
탐구가 성적 제일낮았음
-
그릭요거트 2
아무것도 안뿌렸는데 맛있네 이거먹으면서 다이어트할까
-
6모에 N수 얼마나침? 9모에 얼마나침? 수능엔 얼마나침? 이거 알아야 탐구 사탐런 예상이돨거같은데
-
옯붕이 부산왔다.jpg 19
캬캬
-
볼만한 웹툰 추천 좀 22
장르 불문 아무거나 다 ㄱㅊ
-
너가 재수도 했으니 뭔 말이라도 하라고 하시는데 쩝... 예비고3 사촌동생은...
-
후다세요? 2
네???
-
개념서 있나요?
-
수학 기출 풀때 0
잘풀리면 뭔가 문제 낭비하는 기분이고 안풀리면 하기싫어짐
-
??
-
하면 되는 건가요? 아마도 2월 중순에 추합으로 붙을 거 같은데 지금 미리 자퇴하는...
-
작년에 솔직히 공부 좀 덜한거 같기는 한데 2에서 올라 갈 수가 없는데,,,, 맨날...
-
반수 고민 0
2024수능(백분위) 국어 83 수학 80 영어2 생1 (84) 지1 (81)...
-
본인특 1
순도 100% 똥글임
-
아으뇌아프다 0
-
나 아직도 출발 안 함 친구 이제 배그 끝났다고 함
-
지능 끈기 베이스 체력 건강 등등 모두 고려했을 때 1
나는 수험생 50% 수준인듯
-
군수질문 0
군대 시스템을 잘 몰라서.. 수능날에 휴가 낸다고 하면 되는건가요? 일병짬에...
-
첫 풀이 2000덕 드리겠습니다! (+자작 아닙니당)
-
평균 6등급인데 과탐 지1 생1임 생1은 너무 재미없고 힘든데 지1은 할만함 사탐은 그냥 하기 싫음
-
라는 말을 2달전부터 하고있다.
-
고추털 아니라고 문의 보냈는데 지금 연휴냐.??
-
사촌동생 수2 시급 딸기한접시 받아먹고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
스토리 및 게시물 업데이트 안 보기 방금 처음 써봄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