쌉만푸지말자 [1240270]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4-09-21 23:34:44
조회수 321

[국어질문] 22수능 변증법(가)

게시글 주소: https://modern.orbi.kr/00069245779

질문요약)

1)어떻게 해야 1문단의 이념과 현실은 하나의 체계를 이루며, 이부분 처음부터 제대로 읽을 수 있을까.

2)미학은 논증인가?

입니다..ㅎㅎ




--

22수능 변증법 (가) 지문 읽으면서 구조 파악하는 중,



1문단에서


헤겔에게서 변증법은 논증의 방식임을 넘어, 논증 대상 자체의 존재 방식이기도 하다.


즉 세계의 근원적 질서인 '이념'의 내적 구조도,


이념이 시.공간적 현실로서 드러나는 방식도 변증법적이기에,


이념과 현실은 하나의 체계를 이루며,


이 두 차원의 원리를 밝히는 철학적 논증도 변증법적 체계성을 지녀야 한다.


--


(철학적)논증의 방식<->논증 대상 자체     나눠서


논증 대상 자체 = 이념, 현실


존재 방식 = 내적 구조, 드러나는 방식.


이라고 읽었었습니다.



왜 그랬는지 보면, 그 아래 문장에서


이념과 현실은 하나의 체계를 이루며


라고 했기에 이념//현실 이군. 


그럼 이념의 내적 구조//이념이 현실로서 드러나는 방식 으로 나눠서 읽어야지~


이 두 차원의 논리 = 이념 현실 이겠네!!


했던 것입니다.



다시 읽어 보니


논증 대상 자체 = 이념 only.


--


헤겔에게서 변증법은 논증의 방식임을 넘어, 논증 대상 자체의 존재 방식이기도 하다.


즉 세계의 근원적 질서인 '이념'의 내적 구조도,


이념이 시.공간적 현실로서 드러나는 방식도 변증법적이기에,


이념과 현실은 하나의 체계를 이루며,


이 두 차원의 원리(=내적 구조, 현실로서 드러나는 방식)를 밝히는 철학적 논증도 변증법적 체계성을 지녀야 한다.


--


로 읽어야 할 것 같습니다.


왜 그렇게 생각했냐면 2문단에서부터 미학을 변증법적으로 다룬다고 할 때


미학과 관련된 이념의 내적 구조, 현실로서 드러나는 방식 서술할 것이므로.


미학의 대상 = 예술 = '이념'을 인식하는 절대정신의 한 형태 = '이념'이 현실로서 드러나는 방식.


이념이 현실로서 드러나는 방식 = 예술, 종교, 철학>>변증법적 체계 성립.


으로 읽어야


현실 = 예술 = 절대정신->이런 약간 애매함이 생기지 않을 것 같습니다.


또한 이념과 현실은 하나의 체계를 이루며 부분은 그저 이념이 현실로서 드러나다 부분의 부연 설명으로 파악해야 할 것 같고요.




그래서 이념//현실 이라고 읽기 시작한 저의 흐름에 어떻게 해야 제동을 걸고


더 정확한 범주인 이념의 내적 구조//이념이 현실로서 드러나는 방식 이렇게 읽을 수 있었을지.


또한 그래서 이념이 현실로서 드러나는 방식 범주는 나왔는데 이념의 내적 구조 범주는 어디에 있는 것인지.




마지막으로, 미학의 대상이 예술 = 절대정신이라 했는데, 변증법이 논증 대상 자체의 존재 방식이라 했으니깐


미학 = 논증, 예술 = 대상 이렇게 읽으면


미학 = 이념의 내적 구조와 현실로 드러나는 방식의 원리를 밝히는 철학적 논증 인 건가요??




지문이 너무 복잡하고 어려운거같아요 ㅠㅠ




대답해주실 고마운 분들을 위해 댓글에 지문 올려놓을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