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scut [1281125] · MS 2023 · 쪽지

2024-01-16 16:16:06
조회수 5,363

언매 선택자를 위한 팁 몇가지.txt

게시글 주소: https://modern.orbi.kr/00066677304

3모 화작 3등급 -> 6모 화작 2등급 -> 9모 언매 2등급 -> 수능 언매 1등급


1. 모든 부분에서 무조건적인 암기에 집착하지 마라


예를 들어 시중에 있는 교재들을 보면 동사와 형용사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청유형이나 ~는 등을 넣어봐서 되면 동사, 안되면 형용사 이런 식으로 해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것까지 일일이 암기할 필요는 없음. 그냥 말 그대로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동사/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 이런 식으로 기본적인 개념만 확실히 잡아놓고 글 속에서의 맥락으로 판단하는 게 훨씬 쉽고 빠른데, 저런 암기법 하나하나에 집착하다 보면 풀 문제도 못 풂. 비단 이 경우뿐 아니라 문법 또한 다른 과목 개념들처럼 외울 것(음운 변동이나 중세국어 특수어휘 등)만 확실히 외우고 나머지는 원리 이해에 집중하는 게 제일 좋음. 나 역시도 후반부에 가서는 지나치게 지엽적이라고 판단한 부분의 암기는 과감히 놓아주고 원리 이해에 치중했음.


2. 손가락걸기는 되도록 피해라


언매를 고르는 이유는 결국 표점에서의 이득이 제일 많을 텐데, 이것도 결국 최대한 맞혀야 이득을 보든 말든 하는 거임. 막말로 화작 만점 vs 언매 5틀에서 언매 쪽이 이득을 본다면 그 수능은 이미 선택과목간 난이도 조절 실패로 망한 시험일 가능성이 높음. 즉 굳이 굳이 더 어려운 과목을 표점 이득을 이유로 고른다면 당연히 그 과목을 최대한 많이 맞힌다는 마인드로 가야 함. 그리고 정답 선지 하나만 확실하게 잡아내면 되는 수학과 다르게 국어 문법은 선지별로 체크해야 할 양도 매우 많고 답인 것 같은 복수의 선지 사이에서 고민하는 상황이 매우 자주 벌어짐. 이 상황에서 굳이 손가락걸기를 한다? 난 잘 모르겠음. 본인이 이번 수능 급으로 어려운 시험에서 검토까지 끝내고도 10~20분 가까이 시간이 남는 굇수가 아닌 한 최대한 선지들을 면밀히 분석하고 고르는 것을 추천함.


3. 매체는 주어진 정보로만 판단하는 게 낫다


다들 하도 추론 추론 해서 매체도 그렇게 접근하는 건가 싶은 사람이 있다면 그건 아니라고 말해주고 싶음. 과목 특성상 결국 틀린그림찾기 느낌으로 갈 수밖에 없고, 그럴수록 오히려 본인의 추론보다도 단순히 주어진 정보와 대조하여 선지의 정오를 판별하는 능력이 훨씬 중요해짐. 오히려 카톡 대화나 스토리보드 이런 직관적인 영역에 추론이 개입되는 순간 혼자 2중 3중으로 생각이 꼬이다 결국 엉뚱한 답을 고르고 자멸하는 일이 생길 수 있음. 나 역시 이번 수능에서 비슷한 실수를 했고, 결국 무난한 2점짜리 문항을 하나 틀렸음.


4. 문법 전체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을 딱 하나 고르라면?


내 생각은 품사와 문장 성분을 제대로 구분할 줄 아는 것임. 품사는 '단어'를 그 '기능, 의미, 형태' 등에 따라 구분한 것이고, 문장 성분은 말 그대로 "문장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기준으로 '문장의 구성 요소들'을 구분한 것임. 그래서 문장 성분은 품사와 달리 단어뿐 아니라 구와 절 등도 가리킬 수 있음. 애당초 문장 속에서의 역할이 중요한 거니까. 명사뿐 아니라 동사의 명사형, 명사절 등도 주어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처럼. 가끔 이를 혼동하고 "이건 명사가 아닌데 왜 주어임?"과 같은 질문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품사와 문장 성분의 구분은 이후 나오는 거의 모든 문법 개념들을 이해하고 하나로 꿰는 근간이 되므로 철저하게 숙지해야 함.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