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스트 첫 졸업생 노벨상 꿈 실현할까
첫 졸업생을 배출한 UNIST가 노벨상의 꿈을 이룰 수 있을까
지난 2009년 개교한 이공계 특성화대학교인 UNIST(울산과학기술대학교)가 26일 첫 졸업생을 배출했다.
대학 내 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이번 졸업식에는 졸업생과 학부모, 구자열 이사장, 조무제 총장 등 교내외 인사 천 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학위수여식을 통해 박사 3명, 석사 45명, 학사 175명 모두 223명이 학위를 받았다.
UNIST의 관심사는 당연히 세계 일류 대학으로의 성장이다. 이와 함께 졸업생 가운데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것 역시 대학의 비전이다.
이와 관련, 대학 캠퍼스 내에는 특별한 사연을 가진 9개의 다리가 있다.
2030년까지 노벨 수상자를 배출하겠다는 목표로 하고 있는 대학이 교내에 있는 9개 무명의 다리를 노벨상 수상자의 이름들로 채우겠다는 복안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조무제 총장은 개교 이후 줄곧 "UNIST는 국내에서 일류가 아닌 세계에서 일류대학이 되어야 하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노벨상 수상자들이 많이 나와야 한다"는 것을 강조해왔다.
조 총장은 오는 27일 열리는 입학식에서도 무명의 다리에 유니스트 출신 노벨상 수상자의 이름이 새겨질 것 임을 강조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날 졸업식에서 학위를 받은 학부 졸업생 175명 가운데 152명이 노벨상의 꿈을 키우며 더 많은 학업과 연구를 위해 대학원에 진학할 예정이다.
대학 측은 "연구중심 대학이라는 특성 때문에 대다수 학부생이 취업보다는 대학원에 진학해 공부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출처-노컷뉴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물1칼럼-기출리뷰] 25수능 물1 전문항 손풀이 16
안녕하세요! 칼럼러 정상화입니다! 물1칼럼의 첫번째 시리즈 [기출리뷰] 바로...
-
촌동네도 아니고
-
https://youtu.be/AaipPpKdvsE?si=yrLqhVIqAoPEUo0-
-
존나 추워
-
이거 하고 N제 할 생각인데 님들생각은 어떰뇨
-
안녕하세요 저능아입니다
-
눈은 왜 비비는거임
-
감자면 맛있음 0
반박시 종북왜구
-
다 뒤졌다
-
일단 믹스견임
-
궁금해용
-
일반적으로 어디가 더 좋을까
-
예상 추합컷 몇으로 생각하시나요? 예비 50정도까지 돌 수 있을까요?
-
진심으로?
-
국어 공부 방향, 풀이 방법 등 도구들을 전수 받고싶습니다 비용은 넉넉히 드이겟습니다 쪽지좀주셉쇼
-
스코시데모 보쿠니 치카즈이테 호시쿠테~
-
남자만 나올거같음
-
햇반은 각성하라
-
경희대 호경 1
등록금 얼마인가요? 아니면 경희대 문과시면 말씀해주셔요..
-
독학기숙 가면 0
단과니 과외 가러 주1-2일 나갈 수도 있나요?
-
정시 백분위가 아에 같아서 진짜 고민이에요.... 댓글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공대는 산공입니당
-
마침내 진격거 성지순례까지 완수하고… 내일 드디어 한국행 비행기를 탑니다! 오늘의 프사 2)
-
2511 생2 3
풀이라기보단 시험지가 이렇게 생겼구나~ 정도
-
오리비티비님 0
레어 다시 가지고싶어요 ㅠㅠ
-
브릿지 난이도 0
2025 수학 브릿지 난이도 평가원이랑 비교하면 어떨까요??
-
첫 정답자 3000덕 드리겠습니다!
-
봐야 겠다고 미룬지 9년째네
-
치킨 존내 맛있네 ㅋ
-
ㅇㅅㅇ
-
수능끝나고 ㄹㅇ 2줄이상 글을 읽은적이 없는데 지금 수능치면 국숭은 가능?
-
한 5명 있으면 새터 가서 ???: 혹시 오르비 ooo님 아니세요? 오르비 카르텔 쌉가능.
-
징거더블다운 1
kfc에서 버거메뉴는 안 먹는데 저거는 먹음
-
올해 갑자기 로스쿨에 관심이 생겨 여러가지를 어쭈어볼려고 하는데 첫번째 동국대...
-
실력 안죽은거같아서 기분 좋넹
-
최적 사문 0
최적 사문 개념완성 system 현강 버전 듣고 코어 들으면서 2회독 하면 좋을까요?
-
결 제대로 파악못하면 대참사날 수 있음
-
정시 희망하는 07 수학 관련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2
07년생입니다. 질문 조금 드리고 싶어서 글 쓰게 되었습니다. 1. 현재 시대인재...
-
멋진 친구가 많으니
-
하지만 기분 조앗ㅅ (재업: 개인정보는소중해)
-
저능해서 울엇어
-
본 곳들 대략 14
경제 : 예비 뿌린거 다 붙을거고, 499도 상당수 살아남을 것으로 보임 사과 :...
-
등록금을 내고 군휴학을 해야하는 사정인데 제가 낸 등록금은 복학할때 이월이...
-
어캄..
-
경희대vs이대 3
내년 목표 정하는 중인데 경희대는 수도권 약대중에서 수학대비 국어 반영비가 제일...
-
전적대 자퇴 0
자퇴를 해야만 다른 대학 등록 할 수 있는건가요?
-
겨울비 느낌있다
-
원래 정치인이셨는데 지금은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계세요 명곡이 많죠.
-
지방충인데 31
오티날은 호텔잡아야대나
흠... 노벨상 받는 학자들은 그렇게 상에 목메지 않던데
바람직한 목표같지 않은데, 음 제가 너무 꼬인듯
한국의 사회적인 통념이 바뀌지 않는 이상은 정말 힘들지 않을까라고 조심스럽게 예상해봅니다.
한국 학교 분위기 사회특성이 노벨상에 영향을 크게 안줘요.
일본은 노벨상 받아도 그게 자신국가의 분위기나 사회특성으로 받았다고 생각안해요. 거기도 우리나라차럼 쓸데없는 낭비가 존재하고 학벌이 존재해요.
차이가 있다면 이공계 기초과학 투자를 상당히 하고 있다는거죠. 우리나라는 응용과학에 투자하는편입니다.
꼭 그렇게 되기를 기원합니다.. 세계와 경쟁하는 대학들이 많아 졌으면.. 속좁은 서열논쟁같은 걸 보면 참 한심한 데.. 유니스트 카이스트 포공과 함께 세계속으로..
노벨상 실제로 받은사람들은.. 그 상을 탈 생각을 갖고 뭔가를 했으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