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많고 어려워진 과목들, 방학숙제·멀티미디어 활용해 정복하자
[신나는 공부]양 많고 어려워진 과목들, 방학숙제·멀티미디어 활용해 정복하자
동아일보 원문 기사전송 2011-08-23 03:13 최종수정 2011-08-23 10:17
《중학교 1학년은 벌써부터 걱정이다. 개학과 동시에 한 달 앞으로 다가오게 될 2학기 중간고사 때문이다. 가장 큰 고민거리는 사회, 역사, 도덕, 기술·가정, 미술, 음악 등 이른바 ‘집중이수제’가 적용된 과목. 집중이수제란 특정 과목을 한 학기 또는 한 학년에 집중적으로 몰아서 배우는 제도다. 학생들이 한 학기에 배우는 과목 수를 줄여 학습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목적.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초등학교 1, 2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에 올해부터 본격 도입됐다.》
배우는 과목 수는 줄었지만 중1로선 시험 부담이 오히려 늘어날 수 있다. 집중이수제 적용 과목에선 3년 치를 1학년 때 몰아서 배우는 탓에 공부할 분량이 주요 과목 수준으로 많아졌기 때문. 과거엔 중2, 3때 배우던 내용까지 한꺼번에 공부해야 하는 탓에 중1에겐 다소 높은 수준의 단어나 개념도 적잖게 등장한다.
올해 2학기 중간고사의 변수가 될 집중이수제 과목. 공부 분량도 많아 ‘벼락치기’가 통하지 않는 이상 새로운 학습전략이 필요하다.
Q. 늘어난 공부분량은 어떻게?
A. 기출문제와 여름방학과제 적극 활용!
중1들이 집중이수제 과목을 공부할 때 가장 부담을 느끼는 점은 ‘학습량의 증가’다.
서울 광남중 안연순 수학교사는 “집중이수제 도입에 따라 사회, 역사 등의 시험범위가 기존보다 2∼3배 증가했다”고 말했다. 예년에 2학기 중간고사 시험범위가 3, 4개 단원이었다면 올해부터는 많게는 10개 단원이 시험범위에 포함되는 것.
효율적인 학습계획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2학기 중간고사에 출제될 가능성이 높은 단원만 콕 집어 미리 살펴보는 학습전략이 필요하다. 한 번 훑어보기도 벅찰 만큼 많은 내용 중에 이를 어떻게 구분하느냐고? 어렵지 않다.
지난해 내신 기출문제를 살펴보며 문제에 포함된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공부한다. 예를 들어 역사시험에 ‘다음 중 고려시대 유물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란 문제가 나왔다면 ‘고려시대’와 ‘유물’에 동그라미를 친다. 이후 교과서에서 이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찾아 따로 노트에 정리하는 것. 해당 문제의 보기에 등장한 개념도 함께 적어 두면 좋다.
해당 과목의 여름방학 과제를 복습하는 것도 한 방법. 과제수행을 위해 학습했던 내용은 2학기에 매우 중요하게 다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서울 거원중 정성애 교육운영부장은 “단원 간 학습비중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수행평가에서 다뤄졌던 내용은 지필고사엔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지난해 수행평가 주제를 미리 살펴보는 것도 효율적인 학습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Q. 어려워진 학습내용은 어떻게?
A. 멀티미디어 자료로 쉽게 이해!
기존 중2, 3 과정의 내용을 한 학년 혹은 한 학기 만에 배운다는 점도 부담. 사회의 경우 경제관련 단원을 공부할 때 통계와 같은 어려운 수학지식이 필요하다. 역사나 도덕에선 중1이 이해하기엔 어려운 한자어가 등장하기도 한다.
이땐 교과서 외 다양한 자료를 적극 활용한다. 예를 들어 사회에서 경제단원을 예습한다면 경제용어나 상식을 쉽게 설명한 학습만화를 참고하는 것. 특히 역사는 어려운 개념을 이해할 수 있을 뿐더러 배경지식까지 쌓을 수 있어 서술형 문제 풀이에도 대비할 수 있다.
어떤 책을 선택할지 모르겠다면? 학교가 지정한 필독서 목록을 참고해 책을 고르자. 대부분 중학교에선 각 교과담당 교사가 중요하다고 판단한 교과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책을 필독서로 지정하기 때문이다.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하는 것도 2학기 내용을 쉽게 익히는 방법이다.
서울 잠신중 이미애 도덕교사는 “예를 들어 도덕에서 애국, 애족사상을 다룬 단원을 미리 공부할 땐 간디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통해 학습하면 도움이 된다”면서 “평소 신문을 꼼꼼히 살펴보며 주요 이슈를 교과내용과 연계시켜 생각하면 ‘민족주의’처럼 다소 추상적이고 어려운 개념을 실제 사례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문서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문서를 계속 읽기 위해서는 첨부된 링크를 클릭하십시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작은 사람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나중에 요르 성인 피규어 오면 특별히 보여드릴게요
-
한국항공대는 2
비행기가지고 뭐 하는곳인거임? 왜 이름을 이렇게 지은거지
-
저정도가 딱 보기좋아
-
단순노출효과를 3
가장 잘 이용하는 남자
-
[단독] 中 비밀경찰 의혹 '왕해군', 주한중국대사 만났다 1
다이빙 신임 주한중국대사가 왕하이쥔(王海軍·왕해군)을 최근 직접 만난 것으로...
-
건강검진 오피셜 +) 계산 틀려서 제목 수정함 ㅋㅋㅋㅋㅋ
-
서양인 유전자로는 못 걸어다닐 정도 비만이어도 생존은 가능한데 우리나라 유전자로는...
-
애호 할 때 마다 엏굴 벌개질거 생각하니까 더.
-
조만간 사단법인지문 타이핑 버전하나 손해설 하나로 올려봄 그때 비교좀요
-
작년 초특급 큘뷰미 카페 사장누님 썰 기억 나는분? 11
학원앞에 카페였는데 나보고 1년동안 수고했다고 종종 오라했는데 간만에 가는중 으흐흐
-
돼지ㄷㄷ 163에 58임 53키로같다고하긴하는데그건걍립서비스고
-
궁금함
-
한비자랑 헤겔을 같은 day에 넣네; 심지어 나머지 2개도 2309, 2306...
-
이신혁 지엽.. 2
내신보다 지엽이 더 많은데 이거 다 알아야해요?
-
이걸 하라고???
-
https://orbi.kr/00071901928 그만큼 무가치하다는건가?
-
어느정도인거에여?
-
100 100 1 99 97 국수만점 연의되지않나?
-
이번에 고1되면서 문학 공부하는데 이런식으로 분석 하는게 정말 필요한 과정인가요?...
-
키빼몸 메타야? 18
170 - 54 = 116 도태남
-
키빼몸 0
작년 6월쯤에는 사관학교 준비하느라 105였는데 올해는 90대...
-
키빼몸 음수 8
가능하려나….
-
나 22학년도에 91점이었는데 커뮤에 나보다 높은사람 95점밖에 못봄 경찰대 수학은...
-
ㅁㅌㅊ? 150키로넘음ㅇㅇ
-
키빼몸 0. 2
0.
-
키빼몸 2
5
-
공짜 외대 2
등록금납부(0원)
-
정상체중인가요?? 아님 좀 빼야하나
-
질문받아요 으하하하..ㅠ
-
사진찍어야하네 5
귀찬네
-
나 키빼몸 90대네 11
하하 자살 마렵군
-
제곧내
-
ㅇ
-
오늘 최초합 등록하는 날인데 제 위에 사람들이 다른데 등록하면 오늘부터 제 예비...
-
등원이 아니라 ㄹㅇ 출근이라는점 끝나면과외가야하는점...
-
자퇴 사유 질문 4
타교 진학으로 해도 불이익같은건 없겠죠?
-
지방러인데..
-
아내에 '알몸 드레스' 입히고…'폭주하는' 칸예 웨스트 [소셜픽] 1
미국의 유명 래퍼 칸예 웨스트가 소셜 미디어에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유대인 혐오...
-
대치하다가 2대맞으면 집 가야하는게 미친듯
-
디플러스 기아 레어 저게 얼마야 ㅅㅂ
-
1년마다 있는 그런거 생각하면 될거같음 긴 기간 갈고닦은 정예병들이 전투를...
-
인강 질문 0
개때잡 1회독 했는데 내신용으로 세젤쉬를 들을까요 미친개념을 들을까요 아님 다른...
-
등록 하는법? 1
등록금 납부하면 자동등록되는거임? 등록 어떻게 하는거지.. 동국대임
-
고3 5모 까진 쭉 1등급 나오다가 6모 69점 찍고 9모 96찍고 수능...
-
눈썹 6
펜슬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