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브
오르비
아톰
내 태그 설정
가자서울대 [349293] · MS 2010 · 쪽지
게시글 주소: https://modern.orbi.kr/0001138729
공대생들 취업 대부분이 연구직이나 연구관련직인가요?그리고 연구직은 연구성과가 없으면 뭔가 불이익이 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쪽지 보내기
알림
스크랩
신고
연구직은 보통 석사 이상은 되어야 갑니다학부만 하고 가는경우는 그리 많지 않아요(과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음)연구직은 연구성과보다는 위에서 시키는 것만보통 하기도 바빠요회사에서는 주어진 것만 잘하면 됨
위에서 시키는 것이라면 예를들어 어떤 일인가요?연구직이 하는 일은 어떤게 있나요?
예를들면 반도체 회사와 같은 경우에는반도체의 성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러이러한 쪽으로 해봐라 그럽니다.그러면 그걸 연구해서 데이터가 나오면 그걸위에서는 생산현장에다가 쓰고 그러는 거구요연구직은 회사에서 만드는 제품의 성능을향상시키는 연구를 합니다.무엇을 전공하는지에 따라서 어떤쪽의일을 하는지는 물론 다 다르구요
대기업의 연구직은 연봉이 쎈가요?그리고 대기업과 대학 또는 공기업이나 연구소의 연구직의 연봉 차이는 많이 나나요?
나쁘게 말하면공대 학부는 회사에서 회사를 돌리기 위한 부품으로 사용이 됩니다.학부 나와서 연구직쪽으로 가는 것은 매우 힘들어요.그리고 대기업의 연구가 정출연보다 연봉이 좀 더 쌜겁니다.정출연의 경우 연구성과에 따른 불이익은 없으나 연구소에서 눈치가 보이겠죠.하지만 대기업 연구소는 얄짤없습니다.
공대는 거의 대부분 대학원 진학 아니면 연구직이던데 특별한 이유라도 있나요?또 연구직말고 다른쪽으로는 진로가 불투명한가요?
공대만큼 진로가 다양한 경우는 별로 없죠...정말 다양하게 갑니다.공대를 졸업하면취직은 진짜 잘되고 학부생이라도 연봉도 잘 줍니다.하지만 오래 못있죠..50세가 되기 전에 다 잘리죠.일반 기업에서는..대신 연구소는 장점이 왠만하면 잘 안짜른다는데 있습니다.그리고 자기 연구분야를 계속한다는 장점도 있고...그리고 기업에 비해 압박이 덜하죠.. 물론 실적의 면에서 좀 그렇긴 하겠지만 기업의 문화는 좀 다릅니다.공대는 전체 학생의 80%는 취업 20%가 진학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공지 오르비 게시판 및 회원 관리법 (Horus Code) (1.1판)
#제휴사공지 [대성마이맥]★예비고1 신규가입 이벤트★ 09년생 신규가입 시 네이버페이 100% 증정! 0
#제휴사공지 22개 대학교 합격인증자를 위한 채팅커뮤니티, 노크를 소개합니다. 9
#05년생#06년생#입결 오르비 합격조사 이벤트 2025 1차 11
#04년생#05년생#06년생 오르비북스 저자 모집 2025 20
17/04/24 22:37
205일동안 빡공하면 서울대가능? 9
이과 노벤데 가능?
2026 수능D - 276
미적분 5개월만에 3등급에서 1등급 그리고 카카오 계약학과 논술 합격
대치동 경력 10년 영어강사 서재성
생윤 및 국어 과외합니다!
진주시 영어과외
의대생 수능수학/중등수학 과외합니다!
연의정시
연구직은 보통 석사 이상은 되어야 갑니다
학부만 하고 가는경우는 그리 많지 않아요
(과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음)
연구직은 연구성과보다는 위에서 시키는 것만
보통 하기도 바빠요
회사에서는 주어진 것만 잘하면 됨
위에서 시키는 것이라면 예를들어 어떤 일인가요?
연구직이 하는 일은 어떤게 있나요?
예를들면 반도체 회사와 같은 경우에는
반도체의 성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러이러한 쪽으로 해봐라 그럽니다.
그러면 그걸 연구해서 데이터가 나오면 그걸
위에서는 생산현장에다가 쓰고 그러는 거구요
연구직은 회사에서 만드는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합니다.
무엇을 전공하는지에 따라서 어떤쪽의
일을 하는지는 물론 다 다르구요
대기업의 연구직은 연봉이 쎈가요?
그리고 대기업과 대학 또는 공기업이나 연구소의 연구직의 연봉 차이는 많이 나나요?
나쁘게 말하면
공대 학부는 회사에서 회사를 돌리기 위한 부품으로 사용이 됩니다.
학부 나와서 연구직쪽으로 가는 것은 매우 힘들어요.
그리고 대기업의 연구가 정출연보다 연봉이 좀 더 쌜겁니다.
정출연의 경우 연구성과에 따른 불이익은 없으나 연구소에서 눈치가 보이겠죠.
하지만 대기업 연구소는 얄짤없습니다.
공대는 거의 대부분 대학원 진학 아니면 연구직이던데 특별한 이유라도 있나요?
또 연구직말고 다른쪽으로는 진로가 불투명한가요?
공대만큼 진로가 다양한 경우는 별로 없죠...정말 다양하게 갑니다.
공대를 졸업하면
취직은 진짜 잘되고 학부생이라도 연봉도 잘 줍니다.
하지만 오래 못있죠..50세가 되기 전에 다 잘리죠.
일반 기업에서는..
대신 연구소는 장점이 왠만하면 잘 안짜른다는데 있습니다.그리고 자기 연구분야를 계속한다는 장점도 있고...
그리고 기업에 비해 압박이 덜하죠.. 물론 실적의 면에서 좀 그렇긴 하겠지만 기업의 문화는 좀 다릅니다.
공대는 전체 학생의 80%는 취업 20%가 진학이라고 보시면 됩니다,